클라우드 전문정보

제목 [3부] 건설 산업에서 클라우드 컴퓨팅
등록일 2024-12-09 조회수 262

상명대학교 / 서광규 교수

 

4. 건설 산업에서 클라우드 적용의 시사점

건설 산업에서 클라우드 컴퓨팅이 활발하게 적용되고 있는 분야임을 보여주며, 이는 이 분야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다는 증거이다. 클라우드 컴퓨팅은 데이터 분석을 위한 연산 능력, 방대한 저장 공간 확보, 건설 데이터에 대한 비용 효율적이고 편리한 액세스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인센티브를 제공했다. 클라우드 컴퓨팅이 타당성, 설계 및 건설 단계를 포함한 프로젝트 수명 주기의 여러 단계에서 사용된다. 반면 프로젝트 건설의 인계 및 운영 단계에서의 사용은 여전히 ​​인기가 없다. 시설 관리, 사용자 편의 관리, 철거 및 해체 시스템 등과 같은 점유 후 시스템에서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을 사용한 사례는 많지 않다. 클라우드 컴퓨팅이 건설 산업에서 다른 신흥 기술을 사용할 수 있는 원동력임을 보여준다. 클라우드 컴퓨팅이 건설 산업에서 BIM, 몰입형 기술(AR 및 VR), 사물 인터넷(IoT) 및 모바일 기술의 추가 채택을 성공적으로 촉진했기 때문이다. 최첨단 트렌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것은 주로 클라우드 컴퓨팅에 의해 주도되고 있으며, 이는 이러한 신기술의 잠재력을 최대한 실현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5. 건설 산업의 클라우드 도입 과제

건설 산업에 클라우드 컴퓨팅이 관련성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광범위한 도입을 앞두고 몇 가지 과제가 있다.

 

5-1. 지연시간

건설 분야에서 클라우드를 도입해도 일부 시간에 민감한 건설 애플리케이션에 필요한 허용 가능한 전송 속도와 응답 시간이 보장되지 않을 수 있다. 이는 소프트웨어 문제이거나 네트워크 문제일 수 있다. 적절한 소프트웨어 설계 기법은 지연 시간 문제를 방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분산 클라우드 아키텍처를 사용하면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지연 시간이 낮아질 수 있기 때문이다. 클라우드 애플리케이션은 클라우드 인프라에서 잘 확장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 최근 클라우드 네이티브로 설계되고 있다. 하이브리드 클라우드도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는데 지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애플리케이션의 지연에 민감한 부분은 사내에서 유지 관리하고 분산 애플리케이션의 다른 부분은 퍼블릭 클라우드 서비스에 둘 수 있다.

건설 회사는 인터넷을 운송 수단으로 사용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지연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전용 링크로 서비스 제공자와 연결할 수도 있다. 건설 회사는 또한 서비스 제공자와 고객 간의 홉을 피하고 네트워크 성능을 개선할 수도 있다. 네트워크 성능을 모니터링하는 애플리케이션 성능 모니터링(APM) 도구가 있어 지연 문제의 근원을 조기에 식별하고 지연 문제를 신속하게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된다.

 

5-2. 신뢰, 데이터 프라이버시 및 보안

보안 경계가 점점 더 유동적이 되어 클라우드 기술 도입에 대한 예상되는 취약성이 증가하고 있다. ​​실제로 비즈니스 파트너는 일반적으로 프로젝트 비용과 같은 개인 및 상업적 정보를 제3자에게 제공하기를 꺼린다. BIM 클라우드 통합에 대한 위협으로 보안 및 프라이버시 문제를 식별했듯이 건설 설계 및 재무 정보를 공유 리소스에 저장하면 건설 산업에 대한 우려가 생기는 것은 당연하다. 일반적으로 알려지지 않은 사람들이 저장된 데이터에 액세스할 수 있다는 인식이 있지만, 이는 심리적 불편함에 가깝다. 실제로 데이터 체인의 가장 민감한 부분은 클라이언트에게 있다. 클라우드에서 발생하는 대부분의 데이터 유출은 클라이언트 측에서 발생하며, 직원이 업무에 개인 모바일 기기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개인 기기는 감염되거나 해킹될 수도 있다. 따라서 건설 회사는 데이터 유출을 차단하기 위한 내부 데이터 보호 전략을 수립해야 한다. 그러나 서비스 제공업체의 Data Bridge의 드문 경우, 규정 준수를 보장하기 위해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업체에 데이터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법을 적용할 수 있다.

 

5-3. 데이터 가용성

기술이 영구적일 수 없기 때문에 클라우드 리소스를 활용하는 기술에서 다운타임을 경험하는 것은 드문 일이 아니다. 클라우드 제공업체가 예상치 못하게 리소스를 종료할 이유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건물 데이터를 사용할 수 없게 되면 건물 데이터는 어떻게 될까? 더욱이 건설 프로젝트는? 건설 프로젝트 중간에 이런 일이 발생하면 더욱 그렇다. 이러한 우려를 극복하기 위해 클라우드 제공업체는 서비스 수준 계약에 명시된 대로 99.999%의 가용성을 제공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최근 클라우드 기술은 다양한 클라우드 제공업체가 호환될 수 있도록 데이터 표현에서 표준과 전략을 만드는 오픈 소스 도구를 제공하고 있다. 이는 제공업체가 불가피하게 사용할 수 없게 될 경우 잠금 문제를 피하기 위해 클라우드 제공업체 간에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5-4. 데이터 거버넌스

건설 프로젝트에는 많은 전문가가 참여하므로 이해 관계자 간의 계약 관계를 자세히 설명해야 한다. 이는 데이터가 기여되고 모든 사람이 소유한 것으로 간주될 수 있으므로 중요하다. 모든 관련 당사자가 데이터에 액세스할 수 있고 지속적으로 데이터를 업데이트해야 하므로 데이터의 실제 소유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건물 팀원 간의 관계도 고려해야 할 또 다른 사항이며 다양한 프로젝트 팀원 간의 정보 교환 요구 사항도 있다. 건물 소유자가 엔지니어와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습니까? 건물 데이터의 생산 및 관리에 참여하는 다양한 이해 관계자 범주에 대한 액세스 수준을 정의해야 할 수도 있다. 이를 활용하는 애플리케이션은 클라우드 서비스 공급자에게 맡기는 대신 적절한 액세스 제어 기능을 구현해야 한다.

 

 

5-5. 건설 현장의 열악한 광대역 연결성

클라우드 서비스에 대한 액세스는 주로 인터넷을 통해 이루어지므로 건설 현장에서 클라우드 솔루션의 이점을 극대화하려면 항상 인터넷 연결이 가능해야 한다. 프로젝트 제공에서 클라우드 컴퓨팅의 경제성을 평가하고 건설 산업의 클라우드 도입에 대한 위협 중 하나로 열악한 네트워크 연결을 포함된다. 프로젝트 현장은 때때로 미개발 지역이거나 일반적으로 인터넷 연결이 낮거나 전혀 없는 농촌 지역일 수 있다. 지하 케이블, 가공선 또는 변전소와 같은 전력 인프라 프로젝트는 건설 경로 전체에 걸쳐 연결성이 좋지 않은 더 넓은 지리적 영역에 걸쳐 있는 프로젝트의 대표적인 예이다. 그러나 초당 수 기가바이트에 달하는 속도를 제공하는 5G 네트워크의 등장과 같은 ICT 기술의 추가 개선은 이 문제를 쉽게 극복할 것이다. 5G 네트워크는 농촌 지역 사회를 쉽게 연결하고 미개발 지역을 개방하여 클라우드 기술의 성능을 높일 것이며 더 나아가 6G 네트워크에 대한 논의도 진행중이다.

 

5-6. 장기 클라우드 사용 비용

장기간 클라우드 인프라를 사용하는 데 따른 누적 비용은 배포 유형에 따라 엄청날 수 있다. 클라우드 SaaS 가격은 처음에는 소비 시간당 단위 가격이었지만 클라우드 연구자들의 추가 노력으로 시장 가치가 통합되고 개인화된 가격이 적용되면서 많은 가격 제안이 나왔다. 예약 형태의 확실한 후원이 현재 좋은 거래를 제공하고 있지만 ICT 기술이 더욱 발전하면 클라우드 서비스 비용이 감소할 수밖에 없다. 한편, 비용 의미는 같은 건설 회사의 경우에도 다양한 클라우드 배포 유형에 따라 같지 않다. 프로젝트 분석 및 머신 러닝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GPU와 같은 고급 리소스를 임대하는 데 상당한 비용이 들 수 있다. 개별 건설 회사가 클라우드로 이동하기 전에 다양한 클라우드 배포 모델의 장기 사용에 대한 개인화된 비용 분석을 수행해야 할 수도 있다.

 

5-7. 다크데이터 스코어링 가능성

클라우드 스토리지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쉽고 저렴한 방법을 제공한다. 이는 실제로 다크 데이터 저장을 촉진했다. 다크 데이터는 획득되지만 의미 있는 통찰력을 위해 추가로 처리되거나 분석되지 않는 데이터이다. 센서에서 생성된 데이터의 상당 부분은 대부분 생성 용량이 분석 용량보다 훨씬 크기 때문에 사용되지 않다. 대부분의 경우 수집된 대부분의 데이터는 규제 정책을 충족하기 위한 것이다. 때때로 수집된 이 데이터는 지금은 사용할 수 없지만 미래에는 분석에 유용할 수 있다는 생각이 이 데이터의 저장을 알렸다. 데이터 가치는 일반적으로 시간 기반이며, 처음에는 유용했지만 충분히 빠르게 처리되지 않은 데이터는 사소하거나 중복되거나 쓸모없게 된다. 그러나 다크 데이터를 저장하고 유지하는 데 소비되는 에너지는 상당해지고 있으며, 관련 없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 상당한 금액이 지출되고 있다.

 

5-8. 엣지 컴퓨팅 및 기타 관련 기술의 위험

의심할 여지 없이 빠른 처리 및 빠른 응답 시간이 특징인 일부 건설 애플리케이션은 멀리 떨어진 중앙 집중형 클라우드 컴퓨팅에 의존할 수 없다. 따라서 건설 산업에서 기존 클라우드 컴퓨팅에 대한 위협을 나타낸다. 처리 기능을 장치에 더 가깝게 가져와야 할 필요성은 Edge Computing 및 Fog Computing, Cloudlet, 계층적 클라우드 컴퓨팅, 모바일 Edge Computing, 모바일 IoT 등과 같은 관련 기술의 등장으로 정점을 이루었다. Edge Computing은 처리 능력을 데이터 생성 장치의 소스 근처에 배치하여 클라우드 컴퓨팅의 서비스와 유틸리티를 최종 사용자에게 더 가깝게 제공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부 애플리케이션은 중앙 집중식 클라우드에 더 적합하지만 일부는 엣지에서 더 잘 수행된다. 그럼에도 다른 기술이 등장하더라도 기존의 중앙 집중식 클라우드가 계속 관련성이 있음을 의미한다.

 



 

6. 건설 산업에서 클라우드 컴퓨팅의 미래 기회

앞서 논의한 클라우드 도입의 기존 이점 외에도 클라우드 컴퓨팅은 건설 산업에 밝은 미래를 제공한다. 여기에서는 다른 이점 중 일부에 대해 설명한다.

 

6-1. 실시간 협업 건설 환경

클라우드 도입의 지연 시간과 일부 장벽을 극복하면 실시간 협업 관행을 발전시켜 협업 컴퓨팅으로 이어질 수 있는 원활한 연결이 용이해진다. 다양한 위치에 있는 프로젝트 설계자는 클라우드 컴퓨팅이 지원하는 문서 공유 및 가상 회의 시설을 사용하여 프로젝트 설계를 작업할 수 있다. 그러면 클라우드 플랫폼의 건설 설계가 다양한 버전을 업로드하지 않고도 건설 설계에 대한 협업을 허용하는 새로운 워크플로로 이어진다. 이를 통해 실시간 검토가 가능해져 갈등을 사전에 식별하여 적시에 해결할 수 있다. 협업 설계 플랫폼은 더 이상 공간에 의해 건설 설계가 제한되지 않으므로 설계 공간을 줄인다.

 

6-2. 클라우드 컴퓨팅의 사전 및 운영 비용에 대한 유연성 향상

클라우드 컴퓨팅이 제공하는 비용 유연성 덕분에 예산이 부족한 건설 중소기업은 상당한 사전 투자와 운영 비용을 피할 수 있다. 이런 식으로 고정 비용이 가변 비용으로 전환된다. 이러한 투자를 피하는 것은 건설 산업의 90%를 차지하는 중소기업의 생존에 필수적이다. 실행에 기반한 비용 모델을 갖춘 서버리스 아키텍처의 등장으로 IT 사용 비용이 더욱 감소했다. 이를 통해 중소기업은 엔터프라이즈 솔루션에 더 저렴한 비용으로 액세스할 수 있다. 중소기업이 실제로 필요한 것만 사용하고 지불할 수 있는 기회로 고정 간접비가 감소한다. 이를 통해 건설 중소기업은 마진을 높이고 사업 성장을 확대하며 사업을 더욱 실행 가능하게 만들 수 있다.

 

6-3. 건설 공급망의 긴밀한 통합

건설 산업은 긴밀한 통합이 여러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는 증거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크게 분산되어 있다. 이해 관계자의 긴밀하고 효율적인 통합에서 얻을 수 있는 이점에는 개방형 표준을 사용하는 재료 데이터베이스가 포함된다. 단일 통합 자재 플랫폼에는 제조일자, 가격, 설치일자, 실제 사용, 수명 종료 정보 등이 포함된다. 공급망의 제품 제조업체, 시설 관리자 및 기타 이해 관계자를 위한 공통 플랫폼은 건설 자재 사용에 대한 즉각적인 조감도와 예측적 유지 관리, 폐기물 예측을 위한 통찰력 분석을 제공하고 궁극적으로 녹색 공급망으로 이어질 것이다.

 

6-4. 건설 프로젝트 납품의 투명성 향상

클라우드 기반 실시간 프로젝트 성과 모니터링 및 보고 시스템을 통해 모든 이해 관계자가 프로젝트 납품 프로세스의 모든 단계에 참여할 수 있다. 클라우드 도입을 통해 프로젝트 진행 상황을 공개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클라우드 플랫폼을 사용하여 프로젝트 진행 상황을 모니터링하면 지연을 제거하고 액세스할 수 없는 정보로 인해 발생하는 누출을 차단할 수 있다. 이러한 투명한 모니터링은 적시에 분쟁을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된다. 분쟁은 프로젝트 계약자에게 가장 큰 재정적 손실 중 하나이다. 분쟁은 일반적으로 명확한 결론을 위한 상충되거나 사용할 수 없는 증거로 인해 발생한다. 클라우드 스토리지는 설계 및 구축된 증거를 쉽게 비교할 수 있도록 하여 소송에 시간과 비용을 들이지 않고 분쟁을 우호적으로 해결할 수 있다.

 

6-5. 건설 회사를 위한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활성화

클라우드 컴퓨팅은 건설 회사가 새로운 방식으로 사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의 출현으로 이어질 것이다. 따라서 클라우드 컴퓨팅은 일회성 현장 비즈니스 모델에서 종량제 솔루션으로의 변화를 가져올 것이다. 클라우드는 기업에 데이터베이스 소프트웨어와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을 제공한다. 클라우드 컴퓨팅의 막대한 힘에서 즉각적인 대응을 통해 건설 종사자에게 주문형 인텔리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등장할 수 있는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의 예로는 서비스로서의 설계, 서비스로서의 조달, 서비스로서의 건설, 서비스로서의 시설 관리, 서비스로서의 철거, 서비스로서의 개조, 서비스로서의 폐기물 관리가 있다. 예를 들어, 시설 관리를 위해 배포된 클라우드 기반 솔루션은 건물 내부의 특정 시점에 있는 거주자 수를 감지하여 그 시점에 시설이 소비되는 속도에 영향을 미친다. 그런 다음 시설 관리자는 소비된 측정된 서비스에 따라 비용을 지불받다. 따라서 건설은 유틸리티로 간주되어 사용당 비용을 지불한다.

 

6-6. 향상된 보안 보장

최소한의 비용으로 건설 데이터를 위한 보안 플랫폼을 제공하는 클라우드 인프라의 성숙한 보안 기능 외에도 클라우드 서비스는 건설 회사가 더 이상 일상적으로 데이터 백업을 실행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건설 데이터에 대한 탁월한 백업을 제공한다. 클라우드 가상 서버는 하드웨어에 독립적이다. 가상 서버는 운영 체제, 애플리케이션, 패치 및 데이터를 캡슐화한다. 이것들은 한 데이터 센터에서 다른 데이터 센터로 안전하고 정확하게 전송되며, 이를 통해 건설 데이터는 서로 다른 위치에 있는 두 개 이상의 데이터 센터에 복제된다. 데이터 센터에서 재해가 발생하면 다른 데이터 센터에서 데이터를 즉시 복원할 수 있으므로 비즈니스 연속성이 보장된다. 하드웨어 서버를 복제하는 비용이 엄청나고 다른 위치에 두는 것이 실행 불가능할 수 있으므로 사내 스토리지에서는 불가능하다. 따라서 재해가 서버에 발생하면 해당 서버의 데이터가 끝날 수 있으며 데이터를 보유한 비즈니스의 연속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7. 건설 산업에서의 클라우드 적용의 의미

건설 산업에서 클라우드 적용은 (1) 기술 및 역량 의미, (2) 클라우드 계약 및 서비스 제공자와의 계약 의미, (3) 클라우드 호스트 위치, (4) 효율성 영향의 네 가지 주요 관점에서 큰 의미를 갖다.

첫째, 클라우드 컴퓨팅 도입은 직원에게 영향을 미치는데, 특히 직원과 기계 간의 빈번한 상호 작용을 초래하기 때문에 근로자가 새로운 역할에 적응하기 위해 새로운 기술을 개발하거나 기존 기술을 업데이트해야 하기 때문이다. 결과적으로 건설 조직은 직원 해고를 피하기 위해 교육 프로그램과 지속적인 학습 모델을 통해 올바른 학습 채널을 제공할 책임이 있다. 건설 IT 인력은 시스템과 구성 요소를 직접 관리하는 대신 서비스와 서비스 제공자의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관리를 보장하기 위해 최적화되어야 할 수도 있다. 클라우드 도입이 직원의 기술과 역량에 미치는 다른 영향으로는 새로운 기술을 사용하여 새로운 역할을 만들어야 할 수 있으므로 IT 인재 측면에서 조정하고, 인력 요구 사항과 관련하여 클라우드로 이동할 때 인력 역량 평가를 포함한다.

둘째, 클라우드 계약은 대개 공급자에게 매우 유리한 원클릭 계약 형태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클라우드 기술을 도입하는 건설 조직은 협상을 활용하여 다양한 우려 사항을 해결할 수 있다. 종종 클라우드 계약은 클라우드 데이터가 어떻게, 무엇, 어디에 저장되는지 근본적으로 제어하지만 자연 재해, 정전, 사이버 공격에 대한 책임 면제는 중요하다. 그러나 건설 회사는 공급자 관리 서비스 보험을 요청하거나 예상치 못한 사건으로 인한 손실에 대한 보험을 받을 수 있다. 마찬가지로 건설 회사는 클라우드 계약에서 전체 건설 데이터가 완전히 철회 가능하고 전체 소유권이 건설 회사에 있음을 보장하는 중요한 조항을 주장할 수도 있다. 계약 만료 시 데이터가 관리되는 방법, 지정된 기간 후 백업을 포함한 데이터의 완전한 삭제를 나타내는 다른 조항도 클라우드 계약에 통합될 수 있다.

셋째, 클라우드 스토리지가 위치한 지역의 데이터 사용을 규제하는 법률은 데이터 소유자와 관계없이 저장된 데이터보다 우선한다. 예를 들어, EU 법률은 시민에 저장된 모든 데이터가 EU 또는 유사한 수준의 보호를 제공하는 관할권에 저장되어야 한다고 요구한다. 따라서 건설 회사는 건설 데이터가 저장된 지역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클라우드 제공자는 전 세계에 서버를 두고 있으므로 가입자는 적절한 위치를 선택해야 한다. 건설 회사는 이러한 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개인 데이터를 익명화해야 할 수도 있다.

마지막으로, 클라우드 도입은 조직 운영의 효율성에도 큰 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어, 클라우드 컴퓨팅을 사용하면 사내 서버 수를 줄여 개별 서버에서 소비하는 에너지를 줄일 수 있다. 데이터 센터는 정교한 냉각 시스템으로 특별히 설계되었으며 사내 서버보다 효율적이도록 설계되었다. 이러한 조합은 높은 에너지 절약 시스템을 만들어낸다. 마찬가지로 클라우드 컴퓨팅과 기타 신기술을 사용한 건설의 온라인 모니터링 및 온라인 협업은 건설 노동자의 통근을 크게 줄여 탄소 배출을 줄인다. 건설에서 클라우드 컴퓨팅을 사용하면 설계, 입찰, 조달 등 건설 ​​단계에서 서류가 필요 없게 된다. 이를 통해 서류 작성에 필요한 많은 에너지와 폐지를 폐기하는 데 필요한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다. 따라서 클라우드 컴퓨팅 도입으로 운영 비용, IT 지출, 유지 관리 비용이 감소함에 따라 건설 산업의 투자 수익률에 미치는 영향이 크게 향상될 것이다. 따라서 건설 회사의 클라우드 컴퓨팅 도입은 녹색 사회를 향한 훌륭한 전환이다.

 



 

8. 결론

본 고에서는 클라우드 컴퓨팅이 건설 산업에 미친 관련성과 클라우드 컴퓨팅이 건설에 적용사례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클라우드 네이티브 서비스 개발을 지원하는 기반 기술을 포함한 클라우드 컴퓨팅에 대한 개요를 설명하였고 건설 산업에서 클라우드 컴퓨팅 사용이 부상하고 있으며, 그 기회가 풍부하다는 것을 기술하였다. 더 중요한 것은, 이 부문의 중소기업이 BIM 지원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여 프로세스를 디지털화하기 위해서는 클라우드 서비스가 불가피하다는 것이다. 건설 산업에서 클라우드 컴퓨팅의 핵심 적용 사례를 통해 안전 시스템, 폐기물 최소화 시스템, 공급망 관리 시스템, 에너지 관리 시스템 및 건설 정보학 등이 활발하게 클라우드 적용되는 분야이고 건설 산업이 클라우드 컴퓨팅을 사용하여 데이터 분석을 위한 연산 능력, 모든 이해 관계자가 건설 데이터에 안전하고 비용 효율적이며 편리하게 액세스할 수 있다는 이점을 있음을 설명하였다.

클라우드 컴퓨팅이 프로젝트 수명 주기의 타당성 조사, 설계 및 건설 단계에서 사용되고 있는 반면에 프로젝트 건설의 인계 및 운영 단계에서의 사용은 여전히 ​​인기가 없다. 시설 관리, 사용자 편의 관리, 철거 및 해체 시스템 등과 같은 점유 후 시스템에서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을 사용하는 것은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추가적으로 클라우드의 광범위한 채택을 방해하는 몇 가지 문제를 설명하였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전략도 제시하였다. 또한 건설 산업에서 클라우드 컴퓨팅의 광범위한 채택의 미래 이점 중 일부를 언급했는데 건설 산업에서 클라우드 컴퓨팅의 잠재력을 제시하기 때문에 건설 실무자와 연구자에게 매우 유용하다고 할 수 있다.

 

 


참 고 문 헌


  1. W.Z. Khan, E. Ahmed, S. Hakak, I. Yaqoob, A. Ahmed, Edge computing: a survey, Futur. Gener. Comput. Syst. 97 (2019) 219–235.
  2. H. Elazhary, Internet of things (IoT), mobile cloud, cloudlet, mobile IoT, IoT cloud, fog, mobile edge and edge emerging computing paradigms: Disambiguation and research directions, Journal of Network and Computer Applications 128 (2019) 105–140.
  3. C. Zhang, Design and application of fog computing and internet of things service platform for smart city, Futur. Gener. Comput. Syst. 112 (2020) 630–640.
  4. J. Li, Resource optimization scheduling and allocation for hierarchical distributed cloud service system in smart city, Futur. Gener. Comput. Syst. 107 (2020) 247–256.
  5. R. Jin, H. Zhang, D. Liu, X. Yan, IoT-based detecting, locating and alarming of unauthorized intrusion on construction sites, Automation in onstruction 118 (2020).
  6. T.-H. Chen, H.-M. Chang, K.-C. Lin, A cloud-based system framework for performing online viewing, storage, and analysis on big data of massive BIMs, Autom. Constr. 71 (1) (2016) 34–48
  7. Sururah A. Bello et al., Cloud computing in construction industry: Use cases, benefits and challenges, Automation in Construction, Vol. 122, pp. 1-18, 2021.
  8. ISO/IEC 22123-2:2023 Information technology — Cloud computing Part 2: Concepts Published (Edition 1, 2023)
  9. Peter Mell, Tim Grance, SP 800-145, The NIST Definition of Cloud Computing, 2011.


저작권 정책

K-ICT 클라우드혁신센터의 저작물인 『건설 산업에서 클라우드 컴퓨팅』은 K-ICT 클라우드혁신센터에서 상명대학교 서광규 교수에게 집필 자문을 받아 발행한 전문정보 브리프로, K-ICT 클라우드혁신센터의 저작권정책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다만 사진, 이미지, 인용자료 등 제3자에게 저작권이 있는 경우 원저작권자가 정한 바에 따릅니다.